본문 바로가기

공부방/Java13

XML 쿼리에서 비교연산자 에러 해결( <![CDATA[ > ]]> ) JAVA를 이용해서 일을 하는중에 컴파일을 하는데 알 수 없는 오류가 발생했다.(해결후에 스샷을 안뜬걸 생각해냄... 하하...)The content of elements must consist of well-formed character data or markup.대략 이런 오류 메세지였던거 같다SELECT A, B, C, D  FROM TESTWHERE A > 0     AND B 대략 이런 쿼리를 보면 그냥 쿼리만 딱 봤을땐 이상할게 없다이게 왜?? 머가 문제인가?? DB툴에서 돌려봐도 오류 없이 조회가 잘된다. 결국 이러저리 찾아보다 발견된 이 쿼리가 오류가 난 이유..해결결론은   이걸 사용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다.스프링 프로젝트에서는 xml에 쿼리문을 작성할 때, 등의 비교연산자나 부등호를.. 2024. 5. 22.
Autowired 어노테이션 이거때문에... 며칠을 삽질했던것인가... 이제 만들기시작한 Controller에 Service를 하나만 입력하고서 무의식적으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넣어놨더니 오류 일부 발췌 Exception encountered during context initialization - cancelling refresh attemp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xxxController':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field 'xxxService';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 2022. 11. 15.
web.xml 생성 Dynamic Web Project로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경우 web.xml 파일이 없네??????????????? 5초간 멍하니 있다가 어디서 만드나 찾음 프로젝트명에 마우스 우클릭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Java EE Tools > Generate Deployment Descriptor Stub 클릭하면 바로 web.xml 파일이 생성 뙇! 2022. 11. 5.
Maven없이 JAVA 프로젝트 만들기 간혹 인터넷망에 접속이 안된다거나 기타등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내부에 라이브러리를 포함시키기 위해 Maven 없이 프로젝트를 만들자. ※ 이클립스에서 생성하는것을 기준(이클립스 2022-9 버전) 1. Dynamic Web project 로 프로젝트 생성 Maven project가 아닌 Dynamic Web project 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2. 프로젝트명 입력 이클립스 내부에서 서버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Target runtime에 서버 설정을 해주면 된다. (난 외부에서 Weblogic 서버를 구동할 예정이라 포함시키지 않음) 이후 컴파일된 파일의 저장위치를 변경한다. (변경하지않으면 기본 셋팅된 위치 Target 폴더에 저장되는 경우도 있고 src폴더에 저장되는 경우도 있다. ) 여기.. 2022. 11. 5.
Tomcat server.xml 분석 server.xml 파일 위치 Tomcat x.0\conf\server.xml → 서버는 지정된 포트를 통해 shutdown명령어를 받는다. - Connector 엘리먼트 요구를 [Engine]에 건네 주는 역할. [Serviced]는 하나 이상의 [Connector]를 가질 필요가 있음. 사용자가 HTTP 또는 HTTP/SSL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요구를 보내고 거기에 맞는 [Connector]들이 응답하며, 이를 받은 [Engine]은 매번 동일하게 처리. [Connector connectionTimeout='5000' port='8080' protocol='HTTP/1.1' redirectPort='8443'] 1. connectionTimeout : 타임아웃 시간을 지정. 연결 요청 후 URI 요.. 2022. 3. 14.
favicon.ico 에러 favicon(파비콘)이란? 파비콘이란 웹페이지에 접속했을때, 상단 탭에 보여지는 아이콘을 말한다. 이건 즐겨찾기에 웹페이지를 등록할때도 사용되는데 웹사이트의 로고(logo)의 개념과 비슷. 최근에는 터치(touch) 아이콘, 타일(tile) 아이콘의 등장으로 더욱 혼란스러움이 가중되었으며, 각각의 기기에 최적화된 파비콘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개발자들에게 어려움을 주고 있다. 1999년에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에 처음 도입된 후로, 파비콘의 사양은 거의 변경되지 않은 채로 대부분 아이콘(ico) 파일의 형태로 도메인(domain)의 루트(root) 디렉토리에 위치. ----------------------------------------------------------- 내 자.. 2021. 3. 1.